주식/기사를 읽자

2024.6.11. AI와 관련된 것들이 여전히 이슈인듯하다.

농사짓는 개발자 2024. 6. 12. 01:00
반응형

https://naver.me/GgWTjfyS

 

넥슨 vs 아이언메이스 표절 논란 점입가경…여론전까지 활활 [재계 TALK TALK]

국내 대형 게임사 넥슨과 중소 개발사 아이언메이스의 ‘표절 시비 논란’이 점입가경이다. 5월 23일부터 두 회사는 본격적인 법적 공방에 돌입했다. 다툼이 시작되면서 양측 모두 자사의 정당

n.news.naver.com


넥슨이 표절 논란에 휘말렸다.
불리한 결과가 나오면 주가에 안 좋을 수도.
일단 지켜보기만 하고 매수는 하지 말아야겠다.


https://naver.me/xcnECe00

 

“AI 반도체 다음은 AI 소프트웨어”

벌써부터 ‘제2닷컴버블’ 걱정? 올해 주식 시장에 인공지능(AI) 돌풍이 몰아친다. 지난해부터 이어진 AI 테마 강세가 식을 줄 모르는 분위기다. 다만 지금까지 AI 테마는 하드웨어 업체에 수혜가

n.news.naver.com

AI반도체는 HBM으로 관련해서 SK하이닉스, 한미반도체 등의 기업이 올해 엄청난 수혜를 얻고 있다. 하지만 AI소프트웨어는 올해 초에 잠깐 반등하다가 말았는데 AI 소프트웨어 관련 수혜주도 알아봐야겠다.
일단 기사에서는 삼성 SDS, 한컴, 더존비즈온을 언급했다.
물론 대충 퍼다 기사 쓰는 기레기들이 많으니 별도 팩트체크는 스스로 해야겠지

https://naver.me/F2ZBo9pS

 

쪼그라드는 한국해운… 신조선 발주량 홍콩에도 밀렸다

국내 선사들의 신조선 발주가 지난해부터 크게 줄어들면서 한국 해운산업 위축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11일 클락슨과 해운조선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은 8557만t(GT·2383척)

n.news.naver.com

우리나라 조선 산업 매출이 급감하고 있나 보다.
주요 원인은 경기 안 좋아서 돈이 없는데 선박 가격이 너무 비싸서라고.

https://naver.me/GtUikrtS

 

아직도 '보톡스 전쟁' 중…휴젤, 메디톡스와 美소송전서 승기

휴젤과 메디톡스의 보톡스(보툴리눔 톡신) 균주 도용 공방에서 휴젤이 먼저 승기를 잡았다.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가 지난 10일(현지시간) 열린 예비 심결에서 휴젤의 손을 들어준 것. 메디톡

n.news.naver.com

보톡스 매출이 이 정도였을 줄은 몰랐다.
그러니 서로 밥그릇 지키려고 동종업계끼리 대판 싸우는구나.
아무튼 메디톡스, 대웅제약, 휴젤 주가를 눈여겨보도록 하자

https://naver.me/xbAOzRMX

 

美 '보톡스 전쟁' 고지 선점한 휴젤…주가도 웃었다

보툴리눔 톡신(보톡스) 주가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상반기 업계 최대 관심사였던 휴젤과 메디톡스 간 소송전 승기가 휴젤 측으로 기울면서다. 11일 휴젤은 오후 1시 기준 8.69% 오른 23만1500원에

n.news.naver.com

이 기사는 메디톡스와 소송을 이긴 휴젤의 주가 상승 소식을 전한 기사이다. 8%나 올랐단다.

https://naver.me/FqWNshsW

 

“빌게이츠도 와서 삽 떴다”…SK 투자한 ‘이 회사’ 미국서 꿈의 원전 세운다

빌 게이츠가 설립한 테라파워 와이오밍주에 실증단지 착공 25만 가구 동시 사용 발전소 AI시대 전력 게임체인저 기대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가 설립하고 SK가 투자한 원자력 기술 혁신

n.news.naver.com

SMR 원자로가 생각보다 굉장히 미래에 도움 되는 전기 생산 용도인 것 같다.
기존 원자로보다 10배 정도 크기가 작고 냉각용으로 물이 아닌 나트륨을 사용하며
모듈 조립식이어서 건설 속도도 빠른 데다가 사용하면서 나오는 핵폐기물도 적다.

"테라파워는 이번 실증단지 프로젝트와 관련해 미국 에너지부가 주도하는 차세대 원자로 실증 프로그램(ARDP)의 일환으로 약 20억 달러(약 2조 7000억 원)를 지원받으며 기술력을 검증받았다. 2022년에는 SK(주)와 SK이노베이션으로부터 2억 5000만 달러(당시 3000억 원)를 투자받으며 국내서도 관심을 모았다." - 기사 내용 중

https://naver.me/GSD27Ney

 

치솟는 엔비디아 비밀은 부동산? AI 시대에 땅싸움, 왜

추천! 더중플- AI 먹여살릴 3가지 인공지능(AI), 절대 혼자 클 수 없습니다. 제대로 키우려면 입지 좋은 데이터센터, 양질의 데이터, 막대한 전기 공급 3박자가 모두 갖춰져야 합니다. AI 비즈니스는

n.news.naver.com

AI가 성장하면서 필수적인 요소가 있는데
1. 데이터센터 2. 전력 3. 발열 4. 부동산이란다
데이터를 개많이 보관해야 하니 데이터센터가 필요하고
AI 자체가 전력소모가 엄청난 데다 발열도 심하니 이 둘을 커버해야 하고
무엇보다 데이터센터가 인력이 많은 곳에 있어야 AI 서비스 속도가 빨라질 테니 좋은 입지에 데이터센터를 건설하는 것도 중요하다.
여기서 전력이야기가 나왔는데
어마무시한 전력이 필요하지만 탄소제로 정책 때문에 화력 발전은 거의 불가능하고 태양광이나 풍력 발전은 너무 발전량이 들쑥날쑥해서 어렵고
원자로는 너무 건설하는데 오래 걸리고 그래서 현재 가장 나은 대안이 소형 원자력 발전이라고 한다. SMR 말이다!

https://naver.me/FioGXCXt

 

삼성전자 따라가기 바빴나… 강력한 한 방 없었던 애플 AI [애플 세계개발자회의 2024]

애플이 새로운 인공지능(AI) 시스템인 '애플 인텔리전스'를 공개하며 승부수를 던졌지만 새로운 게 없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커스터마이징부터 AI까지 삼성전자가 이미 갤럭시 스마트폰에서

n.news.naver.com

아! 이번 애플 발표에 대한 실망감 때문에 관련 수혜주가 폭락한 거였구나
참고로 애플 관련 수혜주는 LG이노텍, 이수페타시스, 자화전자, 아이티엠반도체이다.

https://naver.me/GlJp0zOc

 

'머릿속 지우개' 알츠하이머 60% 늦추는 신약 온다

일라이릴리 '도나네맙' 美FDA 승인 9부능선 넘어 연말까지 판매승인 가능성 시판땐 레켐비 이어 두번째 임상환자 3.7% 뇌부종·출혈 자문위 "부작용보다 이점 커" 투약 주기도 4주로 길어 아리바이

n.news.naver.com

알츠하이머 증세를 더욱더 효과적으로 신약이 미국에서 판매승인을 받았다고 한다.
해당 신약의 이름은 다국적 제약사 일라이릴리가 만든 "도나네맙".
기존 알츠하이머 치료약이었던 "레켐비"보다 성능이 좋다고 한다.
하지만 환자 1736명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에서 3명의 사망자가 나왔고 3.7%의 환자한테 뇌부종, 미세출혈 현상이 나타났다고 한다.
부작용은 있지만 그래도 긍정적으로 봐도 될 것 같다.
한국에서는 아리바이오라는 기업이 임상 3상을 진행하며 "AR1001"이라는 치매 관련 치료제 개발 중이라는데
문제는 주식기업이 아니다!

https://naver.me/5ZJdH5I2

 

팔고·옮기고·자르고...위기의 유통가, ‘벼랑끝 카드’ 꺼냈다

알리익스프레스·테무 등 중국 플랫폼 공세를 포함해 급격한 유통 환경 변화로 영향을 받은 국내 유통 기업들이 허리띠를 졸라매고 있다. 국내 이커머스 업계가 네이버·쿠팡 강자 체제로 재편

n.news.naver.com

이마트, 홈플러스 등 국내 유통업계가 많이 힘든 모양이다.
해외의 값싼 알리, 테무한테 밀려서 그런 듯하다.

https://naver.me/GNWdNbZH

 

[이슈진단+] 국내 ESS 다시 싹 틀까 ...K배터리 탄력 기대

세계 각국이 재생에너지 보급을 서두르면서 관련 인프라인 에너지저장장치(ESS)도 적극 활용하려는 가운데, 그 동안 ESS 활용에 소극적이었던 국내 상황도 바뀔지 주목된다. 전세계 시장에 비하

n.news.naver.com

친환경 에너지 관련해서 배터리 저장 장치인 ESS가 다시 수요 조짐이 보일 수 있다고 한다.



  

반응형